대학원 입시 도움말 2편
두번째 입시 도움 글 시작! 지난 번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입시 도움말 글에는 제 블로그 기준으로는 기록적으로 많은 7개의 댓글이나 달렸습니다. 제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대학원 입시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 댓글들 중에서 2개는 비공개 댓글이라서 제가 답변을 드릴 수 없었습니다. 이 기회에 다시 한 번 말씀 드리면 제 블로그의 정보 글은 모두와 정보 공유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것이니 꼭 공개 댓글로 질문 올려주셔야 합니다! 물론 신상 공개를 하시는 게 꺼려지시겠지만 블로그 운영자인 저도 신상을 공개하고 글 쓰고 있답니다! 이번에는 지난 서울대학교 입시 도움글에서 댓글로 들어온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해볼까 합니다. 중간고사 공부, BK21 프로젝트 참여 등으로 ..머신러닝의 오버피팅은 타일러 라쉬다?!
이번 학기 최대 고비 이번 학기에 저를 가장 힘들게 하는 과목은 최근 세간의 관심이 뜨거운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수업입니다. 왜냐하면 매 수업 시간마다 퀴즈가 있기 때문인데요. 퀴즈가 쉬울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들이 자주 출제됩니다. 그래서 이 퀴즈 공부를 하느라 최근 주말에 데이트를 잘 나가지도 못하고 있어서 약혼자에게 많이 미안합니다. :( 머신러닝 수업 이야기가 나왔으니 교재 이야기를 안하고 지나갈 수 없네요. 머신러닝에 입문하고 싶은 분들에게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learning을 정말로 강력 추천드립니다. 책 제목은 '통계적 학습 (statistical learning)'이지만 통계학과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통계적 학습'은 우리..대학원 입시 도움말 1편
대학원들의 신입생 후기모집 (2학기에 입학하는 것)이 곧 시작됩니다. 그래서일까요? 최근 저에게 개인적으로나 제 블로그를 통해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입학 문의를 해주시는 분들이 예전보다 많습니다. 힘든 머신러닝 수업이 끝난 오늘, 막간의 여유를 이용하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이하 융대원) 입학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한 포스트를 작성해 봅니다. Q1. 학부의 네임밸류?A. 답변부터 먼저 드리자면 '입학에 영향 있습니다' 단, 학부의 네임밸류를 보는 것은 이 네임밸류로 서류 스크리닝을 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학부에서 얼마나 공부를 열심히 했는지 평가하기 위해 '학점'을 평가요소로 활용하는데, 이 때 학점 경쟁의 정도를 가늠해보기 위해 학부의 네임밸류를 보는 것이지요. 따라서 세간의 인식에서 그리 유..공부할 게 많은 대학원 생활 - 1학기 수강과목 설명
생각보다 훨씬 바쁜 대학원 생활 공부할 게 많아서 블로그에 글 쓸 경황이 없었네요. 대학원의 9학점은 대학교의 21학점보다 더 힘든 느낌입니다. 취업을 위해 학점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수업을 골라 듣던 학부 시절과 달리, 도전적이지만 제가 배우고 싶은 과목을 신청했기 때문일 수도 있겠습니다. 이번 학기에 들은 3가지 과목은 '소셜 컴퓨팅', '머신러닝 (기계학습)', 그리고 '융합과학기술개론'이라는 3학점짜리 과목 3개인데요, 어느 한 과목도 쉬운게 없네요. 소셜 컴퓨팅과 머신 러닝은 대학원 입학 전부터 듣고 싶었던 과목이라 신청하였습니다. 융합과학기술개론이라는 과목은 제가 다니는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 존재하는 유일한 필수 과목이라서 재학 중에 반드시 들어야 하기 때문에 빨리 듣자는 심정으로..데이터로 살펴보는 미국 기준금리와 S&P 500 지수의 상관관계
반박을 하기 위한 데이터 리서치 지난번 마지막으로 썼던 '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른다고 하여 반드시 기준금리가 하락하는 것은 아니라는' 내용의 글-금리와 주식의 상관관계 (부제 : 최진기 선생님 반박)-관련하여 댓글을 하나 받았습니다. 댓글의 내용은 제 글의 요지인 '금리와 주식간에는 명확한 관계가 없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제 말이 맞을지 모르겠지만,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금리가 상승 할 때 주가는 반드시 하락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이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는 '기준금리가 올라 국채금리, 즉 수익률이 증가한다면, 주식에 있는 자금들이 앞으로 발행될 채권들 쪽으로 옮겨가서 주가가 하락한다'일 것 같습니다. 댓글에 이유를 적어주시질 않아서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도..금리와 주식의 상관관계 (부제 : 최진기 선생님 반박)
최진기 강사님, 이번에는 틀리신 것 같네요! 자주 보는 Youtube 동영상 중에 '최진기의 생존경제 2018'이 있습니다 지금 대학교에 다니고 계시는 문과 고교생 분들은 최진기 강사님을 아실 것 같은데요, 고교 사회탐구과목에서 가장 유명한 학원 강사셨던 바로 그 최진기 강사님입니다. 예전 2009년도에는 KBS 인터넷에서 진행하셨던 '최진기의 생존경제로' 수험생들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에게도 유명했었는데요, 이명박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아쉽게도 하차하셨다고 합니다. 그런 최진기 선생님께서 2018년 생존경제를 다시 시작하셔서 다시 즐겨보고 있는데요, 최근 7-1강을 들으면서 잘못된 내용이 있어 이에 딴지를 걸어보려 합니다. 이 동영상에서 제가 딴지를 걸 부분은 바로 이 부분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주가가..데이터로 알아보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여성차별
커뮤니티에서 자주 보이는 남녀논쟁글 핸드폰을 살 때 어디서 사는 것이 좋은지, 혹은 할인 상품이 무엇이 있나 알아보러 '뽐뿌'라는 커뮤니티 웹사이트에 자주 찾아가는 편입니다. 방문자수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대한민국에서 28위일 정도로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은 웹사이트지요. 오늘은 예전 1월 30일 아침에 심심해서 어떤 재미있는 글이 또 올라 왔을까 뽐뿌에 접속했다가 우연히 '인기 글' 섹션에서 보았던 '남녀논쟁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글의 제목은 '남혐과 여혐이 주장하는 것들 중 팩트만 살펴봅시다'이며, 내용을 거칠게 요약하면 '한국에서 여자로 살기 편하면서 왜 계속 불평을 하냐!'입니다. 그 근거로 글쓴이는 두가지를 들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남자들은 군대 다녀오느라 2년을 낭비하는데 반해서 여..SNS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들 (From NYT)
저는 SNS에 관련된 기사들을 많이 읽는 편입니다, 대학원에서 SNS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공부를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최근 New York Times에서 흥미있는 기사를 읽어 이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이 기사는 '최근 SNS의 변화'를 나타내는 키워드인 '이미지, 오디오 자료 증가', 'SNS를 통한 사회적 연대', '정치권에서 Meme(움짤)의 부상'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 배울만한 점들을 포인트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Welcome to the Post-Text Future I’ll make this short: The thing you’re doing now, reading prose on a screen, is going out of fashion. We’re taking stoc..하얀눈곰
프랑스에 살고 있습니다. 낯선 나라에 와서 살다보니 생각들이 많습니다. 이 지나가는 생각들을 붙잡아 두기 위해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