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입시 도움말 1편
대학원들의 신입생 후기모집 (2학기에 입학하는 것)이 곧 시작됩니다. 그래서일까요? 최근 저에게 개인적으로나 제 블로그를 통해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입학 문의를 해주시는 분들이 예전보다 많습니다. 힘든 머신러닝 수업이 끝난 오늘, 막간의 여유를 이용하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이하 융대원) 입학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한 포스트를 작성해 봅니다. Q1. 학부의 네임밸류?A. 답변부터 먼저 드리자면 '입학에 영향 있습니다' 단, 학부의 네임밸류를 보는 것은 이 네임밸류로 서류 스크리닝을 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학부에서 얼마나 공부를 열심히 했는지 평가하기 위해 '학점'을 평가요소로 활용하는데, 이 때 학점 경쟁의 정도를 가늠해보기 위해 학부의 네임밸류를 보는 것이지요. 따라서 세간의 인식에서 그리 유..공부할 게 많은 대학원 생활 - 1학기 수강과목 설명
생각보다 훨씬 바쁜 대학원 생활 공부할 게 많아서 블로그에 글 쓸 경황이 없었네요. 대학원의 9학점은 대학교의 21학점보다 더 힘든 느낌입니다. 취업을 위해 학점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수업을 골라 듣던 학부 시절과 달리, 도전적이지만 제가 배우고 싶은 과목을 신청했기 때문일 수도 있겠습니다. 이번 학기에 들은 3가지 과목은 '소셜 컴퓨팅', '머신러닝 (기계학습)', 그리고 '융합과학기술개론'이라는 3학점짜리 과목 3개인데요, 어느 한 과목도 쉬운게 없네요. 소셜 컴퓨팅과 머신 러닝은 대학원 입학 전부터 듣고 싶었던 과목이라 신청하였습니다. 융합과학기술개론이라는 과목은 제가 다니는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 존재하는 유일한 필수 과목이라서 재학 중에 반드시 들어야 하기 때문에 빨리 듣자는 심정으로..융합과학기술대학원 면접 후기 및 tip
서류평가를 통과했다고 끝이 아니죠! 아직 면접이 남아있습니다. 면접에 대해서 개괄식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면접의 중요성 서류평가에서 합격이 된다면 면접 평가만 남습니다. 면접은 최종점수의 50%나 차지하고, 자신이 속한 학과의 여러 교수님을 만나는 첫 자리이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첫인상이 중요하잖아요. 2. 면접 장소 및 일시 제 면접은 수원구 영통시 광교로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광교캠퍼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날짜는 11월 어느 금요일, 오후 2시였구요. 지금 생각해보면 하늘이 매우 청명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마 불합격했다면 매우 우충충한 날씨로 기억했을 수도 있었겠지만요....허허 3. 면접 경쟁률 최종 모집인원은 10명인데, 서류평가 합격자는 12명이었으므로 면접 경쟁률은 1..대학원 입학 Q&A
오늘은 입학 면접에 대해서 적어야 하지만, 정리를 하다보니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대학원 입학 후에주로 받았던 질문들을 Q&A 형식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Q1. 저의 스펙? 스펙 - 스펙은 여러가지 적을 수 있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저의 주요 스펙 3가지를 적어보겠습니다 학점: 서강대 경영 졸업. 졸업할 때 학점을 등수로 따지면 220명 중에서 3등이었습니다. 학점에 신경 쓰느라 도전적인 과목을 이수하지 못했던 것이 지금은 너무 아쉽습니다. 직장경력 2개: 금융 회사 2개월 인턴, 석유화학 회사 약 1년 근무 영어성적: teps 937점특히 직장에서 했던 일이 수량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였기에 이 부분을 제 자기소개서와 연관을 많이 적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대학원 입학 준비과정 (8~10월)
이번에는 독자분들께서 가장 궁금해하실 '대학원 입학'을 시간순으로 제가 입학을 어떻게 준비했는지 따라가며 다루어 보겠습니다. 독자분들께서 참고하실 점은 대학원마다 일정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은 10월에 입학 지원서를 받기 시작하는 반면, KAIST는 여름방학 기간인 7월에 지원서를 받고 POSTECH은 4월-6월, 10월달 두 번 받습니다. 저는 8월달 즈음에야 대학원 진학 결심을 확고히 굳혔기 때문에 카이스트에는 원서를 써보지도 못했습니다. 많은 대학원들 중 카이스트가 가장 지원시기가 빠르니 카이스트 진학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이 일정을 참고하셔서 대학원 입학 계획을 세우셔야 하겠습니다. 8월: 교수님 컨택기간 2017년 8월, 여름 휴가기간 동안 저는 제가 진학하고 싶은 대학원 연구실의..내가 가는 랩 소개 : 서울대 HCC Lab
HCC Lab 소개 우선 HCC(human centered computing) lab이 무엇을 연구하는 랩인지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1) Youtube 동영상, (2) Publy에 소개된 글, (3) 교수님의 뉴스 인터뷰를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니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점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참고한 자료들은 글 맨 아랫부분을 참조해주세요. 사람들의 Data에서 통찰찾기 최근 빅데이터를 연구하는 기업들, 학교들의 관심은 빅데이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지 Engineering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분석의 효율,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나, 이미지에서 어떻게 개와 고양이를 구분할 것인 지를 연구합니다. 이처럼 기계 및 방법론에 집..대학원에 가고 싶은 이유 (진학동기)
제가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게 된 순간부터 어떻게 공부하며 진학을 준비했는지, 그리고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 합격하기 위해 준비한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적어보려 합니다. 이 글을 쓰는 가장 큰 목적은 제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가 될 대학원 진학 시의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단,저랑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직장인 분들이나 HCI, 데이터 사이언스 쪽 학문을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글의 성격도 가지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직장인 시절 데이터 사이언스 쪽 대학원 진학을 고려할 때, 도움이 될만한 글들이 많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대학원 진학 관련 포스트의 첫 글은 역시 '왜 잘 다니는 회사를 그만두고, 대학원에 가고 싶었는지'를 다룬 '대학원 진학 동기'가 적절해 보입..어느 대학원 선배님께 받은 면접에 관련된 조언
이 글은 내가 지원했던 어느 랩의 박사 3분과 1차 screening 용 면담을 나누고 나서, 마음 따뜻한 박사과정생 1분이 나에게 조언을 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이 글의 작성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이 교훈을 오래 기억하고 후에 있을 나의 입시 면접에 활용하기 위해서이고, 두 번째는 대학원 면접을 미래에 볼 후배들을 위한 것이다. 참고로 내가 지원했던 랩은 산업공학과이니 좁게는 산업공학과, 넓게는 공대에 지원하려고 하는 지원자들이 참고를 하면 특히 유용할 것 같다. 1. 이 랩에 찾아가게 된 배경 나는 데이터 사이언스를 하고 싶어서 '데이터 사이언스'를 하는 학과 면 무슨 주제에 관해서 데이터 사이언스를 적용하는지 딱히 신경 쓰지 않고 랩에 지원을 했다. 물론 1순위로 지원한 랩은..하얀눈곰
프랑스에 살고 있습니다. 낯선 나라에 와서 살다보니 생각들이 많습니다. 이 지나가는 생각들을 붙잡아 두기 위해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